화천, 북한강 | 2013.09.08.
길을 나서면서 함께 챙겨온 책은,
신비(妙)님의 따끈따끈한 신간인 <신은 쿨한 스타일이다>.
하늘색 표지가 냉큼 집어들고싶게 만드는 매력적인 책.
홍천, 서석면 | 2013.09.08.
평창으로 향하는 길, 잠시 쉬어가기 위해 공원에 들렀다.
이러저리 거쳐가는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지도를 뒤적여본다.
홍천, 서석면 | 2013.09.08.
복잡한 지도를 한 켠으로 밀어두고 꺼내든 『신은 쿨한 스타일이다』<이하, 신쿨스>
■ ■ ■
인간은 자연
도시의 야경이나 잘 만들어진 공원이 아름답다고는 하나,
산골 오지마을의 황폐한 겨울 들판에는 미치지 못한다.
잘 가꾸어진 식물원과 꽃들이 아름답기로서니,
산속 오솔길에 오롯이 피어난 들꽃에 비할 수 있을까?
인간은 자연의 사자(使者)!
우리는 날아다니는 철새뿐 아니라,
강가에 내려앉은 백로의 우아한 몸짓을 바로 코앞에서 보아야 한다.
동고동락하는 애완동물뿐 아니라,
깊은 계곡에서 생에 한 번 볼까 말까한,
빛나는 털을 가진 담비도 보아야 한다.
- 중략 -
홍천, 서석면 | 2013.09.08.
해가지기 전에 평창에 도착해야하지만,
한가로운 공원의 그늘이 마음에 들어 펼쳐든 신쿨스를 여유롭게 넘겨본다.
■ ■ ■
내 안에는 풍경이 있다
신비(妙)어록은 글이 아니라 그림이다.
그러므로 쓰는 것이 아니라 그리는 것,
내 안의 풍경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것이다.
내 안에는 어떤 그림이 있다.
완전한 그림,
완전한 풍경,
있는 그대로를 묘사하려면
새끼를 낳는 곰처럼 예민해지지 않으면 안된다.
- 중략 -
지금 이 순간도 이렇게 글을 쓸 수 밖에 없는 이유.
바로 내 안의 풍경이 아름답기 때문이다.
신과 인간의 만남과도 같은
거룩한 관계가 바로 그 안에 있기 떄문이다.
홍천, 서석면 | 2013.09.08.
한 세기쯤 지나면 시베리아의 벨로고르스크의 헌책방 어딘가에서 발견 될지도 모를 신비(妙)어록 초판본.
홍천, 서석면 | 2013.09.08.
평창, 미탄면, 동강 | 2013.09.09.
평창, 미탄면, 동강 | 2013.09.09.
'그들을 읽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無의 페달을 밟으며/유하 (0) | 2013.12.10 |
---|---|
노독/이문재 (0) | 2013.12.10 |
소나무에 대한 예배/황지우 (0) | 2013.12.09 |
삶의 권리/박정대 (0) | 2012.12.29 |
풍경한계선/박정대 (0) | 2012.08.07 |